이클립스는 IDE로 개발을 할 때 필요한 모든 환경을 이클립스 상에 구축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 환경에서는 서버, 기록되는 로그파일 , DBMS로 사용할 오라클의 SQL-PLUS창을 각각 실행하고 확인해야 했지만 이클립스 에서는 이 모든 환경을 이클립스에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선 서버를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화면 하단의 [Servers] View를 선택한다. “No servers are available. Click this link to create a new server…” 이란 하이퍼링크를 클릭합니다.

    

“New Server”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Apache]-[Tomcat v8.0 Server]를 선택하고 [Next]를 선택합니다.​      

 

 

Tomcat이 설치되어 있는 홈 디렉토리를 [Tomcat Installation directory][Browse]버튼을 누르고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작성한 Dynamic Web Project인 clientweb을 서버가 인식하는 위치로 보내야 하는데 [Available]목록에 있는 “clientweb”을 선택하고 [Add]버튼을 눌러 [Configured] 목록에 추가되도록 합니다.​

    

 

이클립스에서 실행되는 서버는 기본환경의 서버정보를 copy해 오는 것이므로 이클립스 밖에서 서버가 start되어 있으면 이클립스에서 서버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stop시키고 사용해야 합니다.


[Servers]탭을 살펴보면 서버가 추가되고 서버에 우리가 작성한 
“clientweb”이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의 “Project Explorer”목록에는 “Servers”폴더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밖의 서버 정보가 복사되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erver.xml”을 더블 클릭하면 이클립스에서 xml사용이 처음이므로 다음과 같이 xml파일이 [Design]탭이 눌려져 있는 상태로 open됩다. [Source]탭을 선택합니다.

server.xml의 하단 부를 보면 기본환경에서 Tomcat설치 디렉토리의 conf/server.xml을 열고 직접 <Context>태그를 이용하여 Context를 등록하던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rvers] View에 등록된 서버를 선택하고 단축메뉴를 나타낸 후 [Start]를 선택하면 서버가 start됩니다.

 

[Console] View를 선택하면 “logs”폴더에 기록되던 로그파일의 내용이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개요 및 환경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Dynamic Web Project생성하기  (0) 2019.07.01
Context요청하기  (0) 2019.07.01
Tomcat디렉토리  (0) 2019.07.01
서버의 실행  (0) 2019.07.01
웹서버 설치하기  (0) 2019.06.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