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환경에서 웹의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기본 설정 내용을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살펴보았지만 실제 현업에서 사용하는 환경은 주로 이클립스같은 개발 툴이 될 것입니다. 이클립스에서 개발환경 구축하는 것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클립스에서 웹을 개발하려면 반드시 J2EE를 개발할 수 있는 이클립스를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이클립스를 실행합니다. [Workspace Launcher]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d:\ktdswebwork” 를 [Workspace]란에 입력하고 [ok] 버튼을 누릅다.
[Project Explorer] view에서 웹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프로젝트는 “Dynamic Web project”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추가하기 위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단축메뉴가 나타나면 [New]-[Other]를 선택합니. “Dynamic Web Project”는 워낙 자주 사용하는 프로젝트 이므로 바로 선택할 수 있으나 어느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Other”를선택합니다.
“New”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목록에서 [Web]-[Dynamic Web Project]를 선택하고 [Next]버튼을 누릅니다.
Context명을 입력하는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Project name]란에 “clientweb”이라고 입력하고 [Next]버튼을 누릅니다.
소스파일이 위치할 폴더와 class파일이 위치할 폴더를 보여주는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Next]버튼을 누릅니다.
실제 웹에서 보여지는 페이지를 작성하는 위치와 Context명에 대해 안내하는 화면이 보입니다. 이때 왼쪽 중앙 쪽에 보면 [Generate web.xml deployment descriptor]의 체크박스가 보일것입니다.기본으로 체크가 해제되어 있는데 우리는 체크를 해야 합니다.
이 파일은 context에서 필요한 설정을 정의하는 파일로 실제 7.0이후 버전부터 annotation을 적용하면서 파일의 역할이 축소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annotation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xml을 사용하는 것 부터 살펴보아야 이해할 수 있으므로 체크하여 추가하도록 합니다.
추가된 Dynamic Web Project폴더의 구조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Java Resources의 src폴더 : 자바 파일이 위치하는 곳
- WebContent : 클라이언트에 보여질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
가 추가될 위치
'웹 > 개요 및 환경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등록 및 실행 (0) | 2019.07.02 |
---|---|
Context요청하기 (0) | 2019.07.01 |
Tomcat디렉토리 (0) | 2019.07.01 |
서버의 실행 (0) | 2019.07.01 |
웹서버 설치하기 (0) | 2019.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