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를 통해 우리가 작성한 프로젝트를 github의 repository로 올리는 작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github와 이클립스를 연동하는 경우 내부에서 어떻게 저장되며 관리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SVN 같은 저장소는 작업 공간에서 바로 원격 저장소인 github의 저장소에 저장을 하지만 github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저장합니다. 작업 공간은 실제 내가 작업하는 이클립스 상의 공간이며 스테이지 영역은 최종 저장할(커밋이라 합니다.) 파일들이 저장되는 공간입니다. 이런 이유로 github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요...^^

 

 

[프로젝트 공유]

github 상에서 공유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단축메뉴를 선택한 후 [Team]-[Share Project]를 선택합니다.

 

 

Git repository를 저장할 로컬 저장소를 create 버튼을 눌러 지정하거나 그냥 작업 폴더를 로컬 저장소로 지정하려면 “use or create repository in parent folder of project”를 선택합니다. 우선 체크하지 않고 별도의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대화상자의 [Create] 버튼을 눌러 [Create a Git Repository] 대화상자가 오픈되면 [Browse]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가 저장될 로컬 저장소를 선택하거나 폴더를 새로 작성하여 선택합니다. 기본은 C:\Users\사용자명\git 폴더입니다. 

 

기본으로 작업합니다. 

 

 

모든 설정이 완료된 후 [Finish]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의 모든 아이콘이 변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TestProject no-head]”라는 이름표가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는 현재 추적 중 의미(no-head란 로컬 저장소는 사용할 수 있지만 아직 git 서버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로 이클립스 사이트에 가면 아이콘의 여러 의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iki.eclipse.org/EGit/User_Guide/Stat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