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를 적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우선 CSS를 적용하기 위해서 위치를 정의해야 한다. 이 위치를 선택자라 부른다. 선택자는 태그명이 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id class가 될 수 있다.

선택자와 함께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CSS를 적용한다. { }안에 속성명과 속성값을 나열하며 속성명과 속성값은 “:”으로 속성과 속성은 “;”으로 구분한다.

선택자{CSS속성명:속성값;속성명:속성값…}

 

Inline으로 CSS적용하기

태그 내에 “style”속성을 정의하고 “”안에 속성명과 속성값을 정의한다.

다음과 같이 코드를 추가한다. “color”속성은 글자의 색상을 정의할 수 있는 속성이다. 실행하면 글자의 색상이 파란색으로 변경되어 있다.

 

 

 

<head>태그 내에 정의하고 적용하기

<head>태그 내에 <style></style>태그를 이용하여 정의한 후 사용한다선택자로 태그명을 지정하면 해당 태그에 스타일 시트 속성이 적용된다다음과 같이 작성한 후 실행해보자.

 

 

<p>태그를 선택자로 지정했기 때문에 <p>태그에 해당하는 부분의 문자열이 모두 “red”가 적용되었다. 다만, 맨 첫 번째 문장은 inline방식으로 “blue”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변경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p>태그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정의된 inline방식이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외부 문서로 정의하기

CSS속성을 외부 문서에 정의한 후 적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사이트를 제작하면서 모든 웹 페이지에 동일한 서식을 적용하기 위해서 이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우선 외부 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WebContent”폴더 아래 다음과 같은 구조로 작성한다.

 

공통의 서식이므로 “common\css”폴더를 작성하고 외부 CSS파일을 저장할 것이다. 외부 CSS파일의 확장자는 “.css”이며 추가된 “css”폴더를 선택하고 단축메뉴를 나타낸 후 [New]-[Other]를 선택한다.

 

[New]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Web”에서 “CSS File”목록을 선택한다.

 

 

추가된 CSS파일에 다음과 같이 속성을 정의한다.

 

정의한 CSS외부 문서는 <link>태그를 이용하여 연결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한다. 실행하면 CSS가 적용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문서를 이용하여 공통 서식을 적용한 후 연결하여 작업하는 방법이 CS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스모델의 개요  (0) 2019.07.04
문자열 관련 속성  (0) 2019.07.04
기본 속성 적용  (0) 2019.07.03
CSS의 선택자  (0) 2019.07.03
CSS(Cascading Style Sheet )의 개요  (0) 2019.07.03

+ Recent posts